제자의 길, 제자의 자리

(1개의 고객 상품평)

15,000

책 소개

“이 책은 ‘제자도’Discipleship라는 기독교 공동체의 핵심 원리를 주제로 마가복음을 세밀하게 관찰한 책이다. 특별히 서사비평Narrative Criticism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이 작업을 하였다. 독자가 신학도가 아닌 경우 ‘서사비평’이라는 용어가 다소 생소하겠지만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쉬운 말로 하면 ‘이야기’ 정도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제자도에 관한 내용을 다루면서 왜 하필이면 마가복음인가, 왜 서사비평인가, 하는 점을 잠깐 언급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마가복음서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대개 제자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접하는데 그것은 무엇보다 이 복음서의 저자가 제자도에 깊은 관심을 가진 저자였다는 사실의 발견에서 출발한다. 가령 이 복음서에서 제자들은 다른 복음서와 마찬가지로 스승께서 처음 부르시는이야기(1:16-20)를 통하여 하나님 나라 사역의 초기에 등장하고 있 다. 그렇지만 그분 자신과 그 사역에 동행할 중요한 인물들로서, 특히 ‘함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제자들을 부르고 세웠다는 말은 마 가복음뿐이다(3:14). 그리하여 제자들은 회개를 전파하고, 귀신을 쫓아내며, 병인에게기름을 발라 고치는 많은 사역에 이르기까지(6:12-13), 예수와 함께 있음으로써 그분의 하나님 나라 사역에 동참하는 이들로 강조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밀한 관찰처럼, 그들이 이 복음서에서 전반적으로 어떻게 묘사되고 있으며, 또한 그들에 대한 묘사를 통해 제 시되는 제자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마가복음서 연구의 중요한 신학적 과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마가복음의 제자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이 복음서가 제자들에 대해 긍정적인 묘사와 함께 상당히 많은 부정적 묘사-즉 예수의 정체와 그의 사역에 대한 이해의 부족-를 제공한다는 데서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ㅡ「제자의 길, 제자의 자리」 중에서

■ 목차

저자 서문 / iv
약어표 / vii
서론 ·············································001

  1. 제 1부 | 제자들의 삶의 자리
    · 이념, 유대교 여러 운동들과 유대전쟁··········010
    · 식민지, 로마·헬레니즘 사회····················017
    · 공동체, 마가복음 공동체의 형성················025
  2. 제 2부 | 스승을 만난 제자들
    · 길(道), 부르심································036
    · 삶(生), 제자됨································064
    · 관(冠), 승리됨·······························084
  3. 제 3부 | 변화된 제자의 자리
    · 제자도와 기독론································098
    · 제자도와 종말론································147
    · 제자도와 영광 · ································186

결론 ·············································193
부록: 연구방법과 연구사 ··························202
참고문헌 ·········································263

 

■ 정재춘 | 발행일: 2017년3월10일 | ISBN 9791195359035

제자의 길, 제자의 자리에 대한 1개 리뷰

  1. Florencia

    Asking questions are genuinely good thijng iif youu are not understanding anything totally,
    butt this pst presents good understandng even.

    Also visjt my web blog javdude.win

상품평 추가하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